모바일 메뉴 닫기
 

교과과정

Research & Laboratory

제목
교과목 개요
작성일
2023.05.08
작성자
비교문학협동과정
게시글 내용

CLT 6511 비교문학입문(Introduction to Comparative Literature)
전통적인 비교문학 연구를 개괄하고 최근의 비교문학연구의 동향을 살핀다. 비교문학이 특정국가의 문학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문학, 문학일반이론, 문학연구 등이어야 함을 이론적으로 연구한다.

CLT 6512 세계문학 I(World Literature I)
영웅시대의 서사시들, 즉 호메로스의 『일리아스』(그리스), 『길가메슈』(메소포타미아),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로마), 『베오울프』(잉글랜드), 『롤랑의 노래』」(프랑스), 밀턴의 『잃어버린 낙원』(잉글랜드)등을 동시대의 사회적 배경 및 문학적 전통에 입각하여 해석한다.

CLT 6513 세계문학 Ⅱ(World Literature Ⅱ)
단테, 라블레, 세르반테스, 괴테,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들을 읽으면서, 주인공의 개념과 문학적 서술기법 등이 다양한 문학적 형식 속에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에 연구의 초점을 둔다.

CLT 6514 세계문학 Ⅲ(World Literature Ⅲ)
동아시아 문학 중 세계문학사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전근대시기에서는 중국의 『홍루몽』, 일본의 『겐지이야기』, 한국의 『춘향전』등의 작품을 다루며, 근대시기에는 중국의 노신, 일본의 나쯔메 소세끼, 한국의 채만식 등의 작가를 연구한다 .

CLT 6521 그리스 비극 연구(Greek Tragedy)
아이스퀼로스, 소포클레스 그리고 에우리피데스의 대표적 작품들에 나타난 비극적 비전을 연구한다.

CLT 6522 중세 문학과 문화(Medieval Literature and Culture)
중세의 서사시와 로만스를 그 시대의 문학적 배경하에 검토하고, 한편 그 시대의 주요 문학 작품들 속에서 궁정식 사랑의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부각되고 있는가를 연구한다.

CLT 6523 르네상스 문학과 문화(Renaissance Literature and Culture)
중세 봉건주의에서 근대 자본주의로 이행하는 역사적 전환기로서의 르네상스 시대에서 문학이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하였는지, 그리고 근대적 주체의 형성과정이 르네상스 문학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다양한 쟝르의 텍스트를 통해 연구한다.

CLT 6524 고전주의 문학 연구(Classicism and The Age of the Baroque)
프랑스를 중심으로 발생한 고전주의 문학의 미학 및 창작 원칙 등을 연구하며, 바로크와의 상관관계, 또는 계몽주의, 신고전주의와의 관계등을 연구한다. 문학적 및 철학적 텍스트들과 최근의 비평들을 선택하여 읽는다.

CLT 6525 낭만주의 문학 연구(Literature and Politics of the Romantic Period)
낭만주의라는 문학사조, 문학적 특성이 형성되고 변모되는 과정을 영국, 프랑스, 독일의 낭만주의 시대의 작품 속에서 찾아본다. 비평적, 이론적인 글들로서 헤겔, 러브조이, 웰렉, 에이브럼스, 폴드만, 매간 등의 글들이 포함된다.

CLT 6526 리얼리즘 문학 연구(Realism and the 19th Century Novel)
19세기 유럽 리얼리즘을 대표하는 소설 작품의 강독을 통해 리얼리즘의 미학적, 사상적 원칙을 살펴보며, 아울러 리얼리즘에 대한 정의 및 개념이 이론 및 실제를 통해 어떻게 반영되어왔는지를 연구한다. 리얼리즘의 산물로서 자연주의도 고려될 것이다.

CLT 6527 19세기 러시아 소설(The 19th Century Russian Novel)
도스또옙스끼, 똘스또이, 뚜르게네프, 고골 등의 러시아 소설이 안고 있는 사실성, 역사성, 낭만성 등의 논의를 통해, 동시대 유럽 소설 문학과의 연관성과 러시아 소설의 특성에 대해 연구한다.

CLT 6528 현대 유럽소설(The Modern European Novel)
모더니즘의 컨텍스트 속에서 소설의 주제, 구조 등을 연구한다. 역사적 상황(“서구의 몰락”등), 의식의 형태(베르그송, 니체, 프로이트, 융 등) 그리고 그 시대의 예술적 형식(그림 등)의 종합자 및 해석자로서의 조이스, 프루스뜨, 만의 작품들을 강독한다.

CLT 6529 모더니즘의 문제(The Problems of Modernism)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유럽과 영미의 모더니즘 작품들을 통하여 아방가르드 예술 및 본격 모더니즘의 이념과 실천을 살피고 모더니즘에 관한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모더니티와의 관계도 연구한다.

CLT 6530 모더니즘의 시대(The Age of Modernism)
‘세기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에 이르기까지의 문학과 예술의 주요 흐름의 이데올로기, 이와 연관되는 작품들 및 이론들을 연구한다.

CLT 6531 현대 주요 극작가들 연구(Major Modern Dramatists)
입센, 스트린드베리, 체호프, 피란델로, 로르카, 오닐, 브레히트 등의 주요 작품들을 연구한다.

CLT 6532 포스트모더니즘과 소설(The Postmodern Novel) 모더니즘에서 발전한 포스트모던 소설을 연구한다. 최근의 소설과 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이론간의 관계를 강조하며, 보르헤스, 베케트, 나보코프, 푸엔테스, 그라스, 뵐 등의 작품을 읽는다.

CLT 6541 중세 동아시아문학 비교연구(Comparative Studies in Premodern East Asian Literature)
한중일 3국의 중세문학을 비교하고, 영향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유교 문화권의 문학이 지닌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고, 나아가 문체적 특성을 비롯하여 각국의 문학이 가진 특수성을 연구한다. 고전문학 비평이론의 기본적 특성도 아울러 검토한다.

CLT 6542 근대 전환기의 동아시아문학 비교연구(Comparative Studies in East Asian Literature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동아시아 근대문학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17세기 이후 동아시아 문학의 새로운 경향을 고찰하고, 동아시아 문맥에 적용할 수 있는 근대성의 패러다임을 모색한다. 또한 서구문학의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과정과의 대비를 통해 동아시아문학의 범주적 특수성을 탐구한다.

CLT 6543 일본문학과 식민지한국문학(Japanese Literature and Modern Korean Literature of Colonial Era)
일본 제국주의 침략후 일본문학과의 깊은 연관성 위에서 발전하였던 한국근대문학이 일본근대문학과 다르게 발전한 과정을 연구한다.

CLT 6544 중국한문학과 한국한문학 비교연구(Comparative Studies in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and Chinese Literature)
중국한문학과 한국한문학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각국의 문학이 한문학이라는 일반성내에서 가지는 특수성을 고찰한다. 구체적 주제는 매 학기 별도로 지정된다.

CLT 6545 동아시아문학과 근대성(Problems of Modernity in East Asian Literature)
한중일 3국 근대문학의 특수성 내지 보편성을 아울러 고찰하면서, 근대문학의 기점, 시대구분 및 문학사 방법론 등의 차별성과 공통성을 살핌으로써 한국문학의 위치를 확대하는 방법론을 연구한다.

CLT 6546 근대 동아시아 프롤레타리아문학 비교 연구(Comparative Studies in Proletarian Literature of East Asia)
한국의 카프, 일본의 나프 그리고 중국의 좌련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된 1920-30년대 동아시아 문학의 상호 영향관계를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에서의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전개과정을 연구하는 동시에 서구 프롤레타리아 문학과의 전반적 대비를 통해 특수성을 탐색한다.

CLT 6562 한-중 문학 및 문화 상호영향관계 연구(Korean-Chinese Literary and Cultural Interation) 구체적 주제는 매학기 별도로 명시된다. 기본적으로 한중문학의 발전과정을 시기별로 분류하여, 해당 작품에 대한 형식과 내용상의 특수성과 유사성을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CLT 6563 한-일 문학 및 문화 상호영향관계(Korean-Japanese Literary and Cultural Interation) 한국과 일본은 전근대 및 근대 시기에 걸쳐 문학과 문화 분야에서 서로 밀접한 연관을 가졌으므로 이러한 상호관계를 해명함으로써 양국 문학 및 문화의 동일성과 차이점을 비교 연구한다.

CLT 6564 한-러 문학 및 문화 상호영향관계 연구(Korean-Russian Literary and Cultural Interaction)
러시아 문학과 한국 문학을 비교하면서 그들의 상호텍스트성을 연구한다. 카프문학의 원천, 똘스또이와 이광수, 뚜르게네프와 심훈, 마야꼬프스키와 임화 및 김수영, 아흐마또바와 한국 시인들의 작품 비교를 통해 한국문학에 대한 러시아 문학의 영향을 알아본다.

CLT 6571 주요 문학비평가들 Ⅰ(Major Literary Critics:Plato to 1750)
그리스의 고전시대로부터 18세기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문학이론들을 연구한다.

CLT 6572 주요 문학비평가들 Ⅱ(Major Literary Critics:1750-1950)
18세기 중엽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문학이론들을 연구한다.

CLT 6573 현대 문학이론의 유형 Ⅰ(Types of Modern Literary Theory Ⅰ)
문학작품의 내용 보다는 언어와 형식과 구조에 관심을 두는, 러시아 형식주의와 구조주의, 후기 구조주의를 검토하고, 다른 한편 신역사주의와 문화유물론에 관한 문헌과 이론을 읽고 이에 대한 대표적 비평들을 고찰한다.

CLT 6574 현대 문학이론의 유형 Ⅱ(Types of Modern Literary Theory Ⅱ)
데리다의 해체주의와 그와 관련된 하이데거의 평론들, 아도르노의 부정적 변증법, 가다머와 리꾀르의 해석학과 야우스 등의 독자반응론, 로티의 실용주의 텍스트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CLT 6575 맑스주의 문학이론(Marxist Literary Theories)
문학을 바라보는 맑스주의 이론들을 개괄한다. 맑스, 루카치, 골드만, 알뛰세, 제임슨, 이글튼의 글들을 읽는다.

CLT 6581 동서문학이론 비교연구(The East and West:A Comparative Study of Literary Theories)
동서문학의 기원, 전개, 접점을 고대, 중세, 근대에 이르는 시대구분에 입각하여 비교, 고찰함으로써 세계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고찰한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동양과 서양문학 이론에서의 중요한 특징을 연구한다.

CLT 7611 페미니즘 연구(Introduction to Feminism)
자유주의적, 급진적 페미니즘을 시작으로해서 맑스주의, 정신분석학과 해체주의철학등의 이론들을 수용하면서 페미니즘 운동의 실천성을 모색하고 있는 다양한 이론들을 점검하고, 특히 그 이론들이 문화, 정치적인 실천의 장을 어떻게 열어주는가를 연구한다.

CLT 7612 프랑스 페미니스트 이론(French Feminist Theory) 데리다 이후의 해체주의 철학과 라깡의 정신분석학의 이론에 힘입고 있는, 이른바 포스트구조주의적 페미니스트로 통칭되는 프랑스의 대표적인 이론가들인 보봐르, 식수, 크리스테바, 이리가라이, 뒤라, 위티그 등의 이론을 연구한다.

CLT 7613 여성작가들(Women Writers) 그리스문학으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서구문학의 전통에서, 그리고 우리문학의 전통에서 여성문학의 미학이란 존재하는가, 또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존재하는가등의 문제들을 연구한다.

CLT 7614 민족주의, 식민주의, 여성(Nationalism, Colonialism and Women)
민족주의나 식민주의 문학에서 인종과 민족의 담론이 성의 문제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형성하였는지, 그리고 제3세계 여성들이 식민지 지배하에서 어떻게 식민주의와 가부장제의 이중적 억압구조에 의해 소외당했는지를 연구한다.

CLT 7615 여성, 노동, 글쓰기(Women, Work, and Writing) 가사노동, 그 밖의 생산노동을 담당하면서 글쓰기라는 표현작업과는 ‘어색한’ 관계에 놓일 수밖에 없었던 여성들의 글을 여성들의 자서전과 그 밖의 구전되는 노동요 등을 통해 연구한다.

CLT 7616 유토피아와 여성문학(Utopia and Woman Literature)
여성문학에서 상정하는 유토피아는 기존의 유토피아문학이 간과하는 성의 모순을 새로운 방식으로 풀어갈 것을 제안하는데, 플라톤을 필두로 하는 유토피아문학에서의 여성의 재현문제에서 시작하여 최근의 공상과학문학, 그리고 페미니스트적인 공상과학문학을 읽는다.

CLT 7631 문학비평에 대한 연구(Studies in Cultural Criticism)
문학비평, 철학, 인류학 그리고 언어학간의 협동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문학텍스트들이 그 쓰여지고 읽혀지는 역사적, 사회적 및 정치적 컨텍스트와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가를 연구한다. 방법론을 위해 레비스뜨로스, 푸꼬, 사이드, 바흐친의 이론들을 읽는다.

CLT 7632 식민주의, 탈식민주의, 민족주의(Colonialism, Postcolonialism, and Nationalism)
지배이데올로기로서의 식민주의와 저항이데올로기로서의 민족주의의 충돌이 담론의 영역에서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아일랜드, 인디아, 나이지리아, 한국 등의 경우를 통해 살펴보고, 정치적 독립과 문화적 종속으로 특징지워지는 신식민주의적 시대상황에서 탈식민주의와 민족주의를 고찰한다.

CLT 7633 탈식민주의 이론(Postcolonial Theories) 식민지 해방 이후 아프리카를 비롯한 제3세계권에서 형성된 탈식민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일환으로 전개된 서구중심적 탈식민주의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고, 식민주의 이데올로기에 내제된 이분법적 인식론이 어떻게 극복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CLT 7641 영화연구(Introduction to Film Studies)
몇몇 영화작품들을 대상으로 그들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 영화분석의 기본개념들을 검토함으로써 영상매체를 통한 문화행위의 구체적 방법과 가능성을 연구한다

CLT 7643 영화의 역사와 이론(Film History and Theory)
영화역사의 주요시기와 그 시대의 지적, 사회적 풍토와의 관계, 장르 또는 개개인의 예술가들에 대한 연구, 영화이론의 주요 저서들에 대한 연구 등을 다룬다.

CLT 7644 영화와 이데올로기(Film and Ideology)
영화의 이데올로기적 및 정치적 컨텍스트와의 복합적인 관계를 고찰하면서 담론으로서의 영화의 주요한 측면을 이룬다.

CLT 7645 영화속의 여성들(Women in Film)
영화속의 여성들과 여성감독들의 역할을 사회적, 역사적 관점에서 남성과의 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영상매체와 성(gender)의 관계를 연구한다.

CLT 7661 정신분석과 문학(Psychoanalysis and Literature)
문학에 대한 정신분석학적인 접근방법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를 다루면서 특히 프로이트와 문학, 라깡과 문학이론간의 관계를 연구한다.

CLT 7662 종교와 문학(Religion and Literature)
문학작품에 나타난 종교적 상상력을 고찰하여 문학과 종교의 상호관계를 연구하며, 문학적인 시각으로 성서 등 종교적인 텍스트들에 접근하여 그 텍스트들의 문학성을 검토한다.

CLT 7663 철학과 문학(Philosophy and Literature)
서양의 플라톤주의, 맑스주의, 실존주의 등과 같은 주요 철학적 주제나 주요 철학가들의 사상들, 또는 동양의 주요 철학적 사상들이 문학작품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가를 연구한다. 구체적 주제는 매 학기 별도로 명시된다.

CLT 7664 문학과 이데올로기(Literature and Ideology) ‘정치와 소설’ 이라는 주제, 신역사주의, 맑스와 알뛰세에 이르기까지의 이데올로기의 이론 및 이와 문학간의 관계 등을 연구한다.

CLT 7665 문학과 미술(Literature and Visual Arts)
문학과 미술간의 관계를, 내러티브로서의 문학작품과 미술작품과의 관계를 역사적으로 검토하고 특히 초현실주의 등과 같이 현대문학과 현대미술간의 관계를 집중 연구한다.

CLT 7671 주제중심 연구 Ⅰ(Themes in World Literature Ⅰ)
사랑, 또는 악, 또는 죽음, 등의 주제가 다양한 문학작품 속에 어떻게 부각되고 있는가를 비교 연구한다. 이 중 구체적 주제는 매 학기 별도로 지정된다.

CLT 7672 주제중심연구 Ⅱ(Themes in World Literarure Ⅱ) 소설의 형식을 현대 도시의 경험에 접목시키는데 선구적 역할을 했던 발자크, 디킨즈 그리고 도스토예프스키의 작품들을 연구하며, 이에 일부 한국현대 소설가들의 작품도 포함된다.

CLT 7681 장르이론 Ⅰ(Genre Ⅰ)
문학예술의 한 형식으로서 서정시 또는 서사시의 역사, 사회적 기능을 다루며, 그리고 이 장르에 대한 여러 이론과 해석들을 비교 분석한다.

CLT 7683 소설이론(Theory of the Novel)
소설의 기원에 관한 이론을 포함하여 소설이론들이 어떻게 전개되어왔는가를 다루며, 특히 루카치와 바흐친의 소설이론에 연구의 초점을 둔다.

CLT 7684 동-서 소설이론 연구(The East and the West:A Comparative Study of the Novel)
동서 소설의 기원, 전개, 상호 영향을 비교, 검토(가령『광인일기』와『돈키호테』에서 나타나는 근대의 인식논리, 로망스와 전기소설 등)하는 가운데 동서문학에 등장하는 소설형식 및 이론에 대한 역사적이고 분석적인 연구를 통해 양 문명권의 소설가를 연구한다.

CLT 7999 연구지도 Ⅰ(Directed Research Ⅰ)

CLT 8711 비교문학이론 특강(Topics in Theories of Comparative Literature)
비교문학이론 중 방법론 문제, 문학사조, 문학이론에 대한 개념 등 쟁점이 되는 항목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CLT 8712 번역의 문제(Translation : Theory and Practice)
언어이론, 특히 번역 이론과 번역문들에 대한 실질적 분석을 통해 번역에 관련되는 여러 문제들을 연구한다.

CLT 8721 세계희곡특강(Topcis in World Drama)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파네스로부터 현대의 작가에 이르기까지의 그들의 대표적 희극작가들의 작품 속에 투영된 희극적 비전 등을 연구한다.

CLT 8722 셰익스피어와 세계문학(Shakespeare and World Literature)
셰익스피어가 유럽 뿐만 아니라 비유럽 문화권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셰익스피어의 텍스트에 내재된 보편성이 다양하고 이질적인 세계문학의 시금석이 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한계를 점검해본다.

CLT 8731 도스토예프스키와 현대문학(Dostoevsky and Modern Literature)
도스토예프스키의 대표적인 작품들이 현대문학 및 실존주의를 비롯한 현대 사상에 끼친 영향을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CLT 8732 세르반테스와 유럽소설(Cervantes and the European Novel)
『돈키호테』에서 나타나고 있듯이, 소설의 주요 형식들의 대두와 발전 등, 이 작품의 이후의 소설들에 미친 중추적 역할을 연구한다.

CLT 8741 현대문학특강(Topics in Contemporary Literature)
현대문학의 내용과 형식상의 특징을 전시대 문학과의 차이점을 통해 검토한다. 현대문학의 역사적, 문화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모든 장르를 포괄하는 주제를 설정하고, 그것이 현대문학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연구한다.

CLT 8742 현대문학과 제국주의 (Imperialism and Modern Literature)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이어지는 20세기 서구문학과 그 역사적, 문화적 배경 중의 하나였던 제국주의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한다.

CLT 8743 현대소설특강(Topics in Contemporary Novel)
나보코프, 보르헤스, 베케트, 가르시아 마르케스 등의 주요 작품들을 연구하며, 이들 작가들의 작품들을 독특하게 만드는 기교적, 문체적 새로움 뿐만 아니라 각 작가의 모더니티 이면에 자리하고 랽는 문화적 위상을 검토한다.

CLT 8744 현대시특강(Topics in Modern and Contemporary Poetry) 동-서양 현대시의 형성과정 및 발전을 당대의 역사와 문화적 맥락에서 연구한다. 문학사조의 상호영향 관계, 그리고 주제와 형식상의 특성을 아울러 고찰하여 주요 현대 시인들의 문학적 위상을 검토한다.

CLT 8745 현대희곡특강(Topics in Contemporary Drama)
부조리극의 대표적 극작가들, 베케트, 이오네스코, 주네, 아라발, 핀터, 올비의 주요 작품들을 연구한다.

CLT 8751 계몽주의와 낭만주의(The Enlightenment and Romanticism)
흔히 낭만주의는 이성에 대한 신봉으로 특징되는 계몽주의에 대한 반동이라고 해석되어 왔다. 18세기 프랑스의 계몽주의 철학의 전통과 유럽낭만주의와의 관계를 살피고, 이러한 관계가 그 이후의 공리주의 혹은 공상적 사회주의와 어떻게 이어지는가를 연구한다.

CLT 8761 모더니티,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Modernity, Modernism, and Postmodernism)
모더니즘의 중심적 쟁점들 및 근대라는 시대가 제기하는 중심적 문제들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소설들과 이론들을 조명한다. 칸트, 볼테르, 니체, 베버, 카프카, 프루스트, 아도르노, 하버마스, 푸코 등을 읽는다.

CLT 8762 포스트모더니즘과 제3세계(Postmodernism and the Third World)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들과 제3세계문화 및 정치간의 상호관계를 탐구하며, 여기에는 포스트맑스주의와 혁명이라는 주제, 성(gender), 민족, 제국주의, 그리고 이들의 문화적 정치학과의 관계와 같은 주제들이 포함되며, 최근의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의 문학 역시 포함된다.

CLT 8771 20세기 문학이론 특강(Topics in Contemporary Literary Theories) 현대 비평이론의 발전에 지대한 역할을 하는 프라이, 벤야민, 푸코, 바르트, 데리다 등의 이론을 연구한다.

CLT 8781 제3세계문학 연구(Studies in the Third World Literature)
나이지리아, 케냐,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디아, 파키스탄, 카리브해, 오세아니아 원주민 등을 포함한 영어사용권 지역에서 생산된 작품들을 비교하면서 제3세계문학의 공통된 과제와 문제점, 그리고 지역적 다양성을 포괄적으로 연구한다.

CLT 8782 내러티브 연구 : 문학과 문화
글과 책을 매체로 삼던 문학의 시대가 저무는지도 모르는 지금 이 순간, 문학의 자리를 확인하고 보존하는 데 매우 유용한 개념 중 하나가 내러티브이다. 시작과 끝이 있고, ‘우회’와 ‘지연’이 발생하는 연속은 모두 내러티브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내러티브로 시야를 확대할 때 전통적인 문학의 통념과 가치들은 사라지거나 변형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이 과목에서는 ‘문학과 문화’ 사이에서 내러티브의 여러 문제들을 탐구하기 위해 세 가지 단계를 거칠 것이다. 첫째, 내러티브에 대한 다양한 이론화의 선례들을 살펴본 후, 둘째, 이와 동시에 내러티브의 문제를 일찍이 제기한 고전작품 한 두 편을 통독한 후, 셋째, 오늘날 다양한 내러티브에 대한 수강생들의 분석 또는 내러티브 생성 프로젝트 워크샵으로 마무리할 것이다.

CLT 8783 바흐찐의 도스또옙스끼론 연구

CLT 8784 자본읽기: 스미스, 맑스, 부르디외

CLT 8785 번역과 동아시아 근대성

CLT 8786 페미니즘 연구

CLT 8795 아시아 영화와 문학(Asian Film and Literature)

CLT 8796 텍스트와 대중문화 : 일본과 한국 비교연구 (Texts and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Japan and Korea)

CLT 8797 서구 근현대 문학과 자기연출(Self-Presentation of Modern European Literature)

CLT 8799 플라톤 대화편(A Seminar on Plato’s Republic)

CLT 8800 문학과 미학의 쟁점: 멈춤에서 흐름으로 (Topics in Literature and Aesthetics: From Eternity to Time)

CLT 8801 욕망과 정서: 스피노자의 인간학 연구

CLT 8802 소설의 시공간과 교양소설론

CLT 8803 인식론과 관점으로서의 페미니즘(Feminism as Epistemology and Perspective)

CLT 8804 괴테 연구 Ⅰ(Goethe Studies Ⅰ)

CLT 8805 서사시와 장편소설(Epic/Epos and the Novel)

CLT 8806 비평의 논리와 실제(Theories and Practices of the Criticism)

CLT 8807 감정과 윤리(Emotion and Ethics)

CLT 8808 전환기의 매체이론(Theories of Media Change)

CLT 8809 동아시아 비교문학연구(Comparative Studies in East Asian Literature)

CLT 8810 헤겔 철학 입문

CLT 8811 도시의 시학(The Poetics of City)

CLT 8812 맑시즘과 언어철학(Marxism and the Philosophy of Language)

CLT 8813 자본의 서사 : 맑스, 발자크, 디킨스(Narrating Capital : Marx, Balzac, Dickens)

CLT 8814 니체철학(Philosophy of Nietzsche)

CLT 8815 괴테 연구 Ⅱ(Goethe Studies Ⅱ)

CLT 8816 내셔널 시네마의 문제(Revisiting National Cinema)

CLT 8817 헤겔과 아시아 : 헤겔 철학의 탈식민적 독해 연습(Hegel and Asia : A Decolonial Interpretation of Hegel’s Philosophy of History)

CLT 8818 트라우마, 서사, 역사(Trauma, Narrative, History)

CLT 8819 서사이론(Narrative Theory)

CLT 8820 근대 문학과 감각의 기록(Modern Literature and Olfactory Sense)

CLT 8821 주체의 문제와 사랑 : 니체, 바르트, 루만을 중심으로(The Problem of the Subject and Love)

CLT8823 매체로 본 문학의 사회사(Social History of Literature and Media)

CLT8824 프랑크푸르트 학파와 독일 관념론(Frankfurt School and German Idealism)

CLT8825 호메로스 대 플라톤(Homer vs. Plato)

CLT 9891 특수과제지도 Ⅰ(Directed Reading and Research Ⅰ)

CLT 9892 특수과제지도 Ⅱ(Directed Reading and Research Ⅱ)

CLT 9999 연구지도 Ⅱ(Directed Research Ⅱ)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