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공지사항

Community

제목
비교문학협동과정 정기 컬로퀴엄(1995년-)
작성일
2023.05.08
작성자
비교문학협동과정
게시글 내용

비교문학협동과정은 분과 학문의 경계를 넘어 학제간 연구를 장려하는 본 과정의 취지를 적극 살리고자 매년 정기 컬로퀴엄과 연계전공 특강을 개최합니다. 비교문학협동과정이 기획하고 주최하는 대표적인 공개 학술행사인 정기 컬로퀴엄은 ‘동서 신화’에서부터 ‘사이보그 서사’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하고 폭넓은 주제들을 넘나들며 문학과 인문학 전반에 걸쳐 매우 흥미롭고 풍성한 학문적 논의와 성찰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제55차 컬로퀴엄
2022년 11월 22일
문학이라는 비밀
민승기(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제54차 컬로퀴엄
2022년 4월 22일
말할 수 있는 자격과 응답할 수 있는 능력
김애령(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교수)

제53차 컬로퀴엄
2021년 10월 21일
벤야민과 기억
윤미애(서울대 인문학연구원 연구원)

제52차 컬로퀴엄
2021년 7월 1일
벤야민과 라디오
고지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초교육학과 강사)

제51차 컬로퀴엄
2020년 12월 9일
아도르노의 신극우주의 비판 강연: 그 역사성과 현재성
이경진(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제50차 컬로퀴엄
2019년 10월 8일
현재만이 우리의 행복이다
임철규(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비교문학협동과정 명예교수)

제49차 컬로퀴엄
2018년 10월 22일
미메시스mimesis, 포스트 미메시스postmimesis
오길영(충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제48차 컬로퀴엄
2017년 10월 13일
번역과 번역하는 인간 – 프리모 레비 텍스트에 나타난 번역 현상을 중심으로
한리나(이탈리아 문학 번역가, 연구자)

제47차 컬로퀴엄
2016년 09월 09일
“선물(gift)과 빚(debt)” – 베트남전쟁, 난민, 호혜성의 문제
김정하(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제46차 컬로퀴엄
2014년 11월 21일
현상이라는 수수께끼
김동규(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제45차 컬로퀴엄
2014년 05월 23일
근대와 은유
조창오(독일 뤼네부르크대학교 박사)

제44차 컬로퀴엄
2013년 10월 18일
그 사랑 – 로미오와 줄리엣
임철규(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비교문학협동과정 명예교수)

제43차 컬로퀴엄
2013년 5월 24일
유령, 탈골, 섭리 : 『햄릿』과 종교개혁
윤혜준(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비교문학협동과정)

제42차 컬로퀴엄
2012년 11월 23일
라캉의 욕망의 그라프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최원(철학박사)

제41차 컬로퀴엄
2012년 5월 22일
중국신화와 이미지의 계보학
정재서(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제40차 컬로퀴엄
2011년 5월 12일
범속한 각성, 이미지 공간/몸 공간
최문규(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비교문학협동과정)

제39차 컬로퀴엄
2010년 11월 12일
검투사
임철규(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비교문학협동과정 명예교수)

제38차 컬로퀴엄
2010년 5월 7일
‘The Social의 종말’과 행위자-연결망이론
김환석(국민대학교 사회학과)

제37차 컬로퀴엄
2009년 11월 6일
안티고네와 법의 문제 – 인간의 본질적인 거주함에 대한 하이데거의 사유
이은정(연세대학교 비교문학협동과정 강사)

제36차 컬로퀴엄
2009년 5월 22일
메를로-퐁티의 살 존재론과 예술
정지은(홍익대 미학과 강사)

제35차 컬로퀴엄
2008년 10월 31일
성과 서사 – 20세기 중국 현대 주체와 서사 형식 연구
안재연(연세대학교 비교문학협동과정 강사)

제34차 컬로퀴엄
2008년 5월 2일
영미권과 한국 멜로드라마에 대한 영화학적 접근
조은선(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BK사업단 연구원)

제33차 컬로퀴엄
2007년 11월 30일
총체성 없는 전체주의 : 지젝, 아감벤 그리고 ‘우리’
한보희(연세대학교 비교문학협동과정 강사)

제32차 컬로퀴엄
2007년 5월 23일
돈키호테 : 들판 위에 서 있는 것은 무엇일까, 나는 누구일까
김경범(서울대학교 연구교수)

제31차 컬로퀴엄
2007년 5월 4일
라틴아메리카 현대 문학 : 과거와 현재
송병선(울산대학교 스페인.중남미학과)

제30차 컬로퀴엄
2006년 10월 27일
육체와 시선 – 아시아계 미국인의 인종성
오승아(캘리포니아 리버사이드대학교 영문학 박사, 중앙대학교 강사)

제29차 컬로퀴엄
2006년 5월 12일
매체와 이념 – 영화와 문학의 만남과 헤어짐
김정아(연세대학교 비교문학협동과정 강사)

제28차 컬로퀴엄
2005년 11월 18일
들뢰즈와 건축
정만영(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제27차 컬로퀴엄
2005년 4월 28일
제국, 다중 그리고 삶정치
조정환(<<자율평론>> 상임간사)

제26차 컬로퀴엄
2004년 11월 5일
상징과 의미 – 차라투스트라의 영원회귀 사유
백승영(서울대학교 강사)

제25차 컬로퀴엄
2004년 4월 2일
윤이상의 창작세계와 민족의 문제
윤신향(가천대학교 강사)

제24차 컬로퀴엄
2003년 11월 12일
들뢰즈와 문학 – <<프루스트와 기호들>>을 중심으로
서동욱(서강대학교 강사)

제23차 컬로퀴엄
2003년 3월 20일
세계 소설사와 이행의 문제
김태환(한국예술종합학교, 한양대학교, 서울대학교 강사)

제22차 컬로퀴엄
2002년 11월 22일
대도시소설에 있어서 ‘경험'(Erfhrung)과 ‘체험'(Erlebnis)
윤혜준(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부)

제21차 컬로퀴엄
2002년 9월 27일
기억될 수 없는 것, 이미지
박준상(파리8대학교 철학과 박사)

제20차 컬로퀴엄
2002년 3월 29일
신비평 이후, 현대 비평 이론의 흐름을 따라서
장경렬(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제19차 컬로퀴엄
2001년 9월 25일
보르헤스의 픽션과 이데올로기
엄지영(마드리드국립대학교 박사 수료)

제18차 컬로퀴엄
2001년 5월 11일
사이보그 서사의 기원, 역사 그리고 비교학적 성찰
정재서(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제17차 컬로퀴엄
2000년 9월 29일
도스토예프스키의 환상적 리얼리즘
조주관(연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제16차 컬로퀴엄
2000년 3월 29일
희랍비극의 니체적 조명 : Aischylos의 3부작 Oresteia를 중심으로
김기선(증산도사상연구소 연구위원)

제15차 컬로퀴엄
1999년 12월 15일
Neither Nor Or Both And : 월남전에서의 한국군인의 애매한 위치에 관하여
박진임(서울대학교)

제14차 컬로퀴엄
1999년 3월 25일
세계의 은유와 은유의 세계
최문규(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제13차 컬로퀴엄
1998년 11월
문화적 상징으로서의 나비부인 이야기
우미성(연세대 미디어아트연구소 연구원)

제12차 컬로퀴엄
1998년 5월
임신한 정신의 우울과 동정녀의 나르시시즘에 대하여
김상봉(철학박사)

제11차 컬로퀴엄
저항인가 유희인가? 탈식민주의의 반성과 전망
이경원(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제10차 컬로퀴엄
1997년 12월 4일
문화연구에 무슨 일이 있었나?
원용진(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제9차 컬로퀴엄
1997년 11월 6일
영화텍스트의 구조와 수용방식
임정택(연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제8차 컬로퀴엄
1997년 5월
고대 그리스와 고대 한국의 미적 의식에 있어서 비극적인 것

제7차 컬로퀴엄
1997년 4월 29일
탈현대사조의 공과
김상환(서울대학교 철학과)

제6차 컬로퀴엄
1997년 2월 25일
생태주의와 문학
박창길

제5차 컬로퀴엄
1996년 11월 11일
동서문학 어떻게 비교할 것인가
조성원(명지대학교)

제4차 컬로퀴엄
1996년 4월 22일
비교문학 학위 논문을 위한 세미나
고부응(중앙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제3차 컬로퀴엄
1996년 4월 8일
동서문명에 대한 전제없는 토론
김용옥(전 고려대학교 교수)

제2차 컬로퀴엄
1995년 12월 6일
루쉰(魯迅)과 김수영의 근대성
유중하(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제1차 컬로퀴엄
1995년 10월 18일
문화의 통일장론(統一場論)
박동환(연세대학교 철학과)

첨부
기본형_심볼-01.jpg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다음글
2022학년도 겨울방학 외국어 고전강독